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PT
- 네이버웍스#카카오워크#플로우#잔디#콜라비#협업툴#재택근무#디지털전환
- 파이썬
- 거대언어모델
- 데브코스
- 코딩테스트
- 한기용
- 프로그래머스 데이터엔지니어링
- 프로그래머스
- 연결리스트
- 데이터 엔지니어링
- 프로그래머스 데이터 엔지니어링
- 알고리즘
- 스택
- 데이터엔지니어링
- Transformer
- 프로그래머스 #해시 #python #완주하지못한선수
-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 #python #init#패키지
- ChatGPT
- 이시윤
- 자료구조
- LLM
- Today
- Total
목록알고리즘 (3)
내 인생을 코딩

학습주제 [수업] 알고리즘/ 자료구조 : Hash, Sort 주요내용 수업을 통해 Hash와 Sort를 통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 문제들을 풀어봤다. 기존에도 파이썬의 딕셔너리와 파이썬을 잘 활용하고 있었지만, 추가적으로 궁금증이 생겨서 각 자료형의 성질과 시간 복잡도 등 특징을 간략히 정리해본다. 1. 해시(Hash) 키(key)에 데이터(value)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해시테이블이라고 한다. 키와 해시테이블 사이에는 해시함수가 동작한다. 해시함수는 키에 대한 산술연산을 이용해 나온 해쉬 값 혹은 주소를 바탕으로 해시테이블에서 데이터의 위치를 단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함수이다. 해쉬주소를 통해 해시테이블에 접근하므로 일반적으로 O(1) 시간복잡도를 가진다. ..
학습주제 [수업] 자료구조/알고리즘 : 연결리스트, 스택 주요내용 1. 추상적 구조 - 내부 구현은 숨기고 데이터와 연산을 제공하는 자료구조를 말한다. - Data는 정수, 문자열 등이 될 수 있고, 연산은 삽입, 삭제, 순회, 정렬, 탐색 등의 동작하는 기능이다. 2. 연결리스트(Linked List) -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가 저장된 공간의 주소를 참조하고 있는 것을 '노드'라고 한다. class Node: def __init__(self, item): self.data = item self.next = None - 이러한 노드의 집합을 순서대로 저장한 자료구조를 '연결리스트'라고 한다. - 연결리스트는 가장 처음 노드와 마지막 노드의 값을 head와 tail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class Link..
학습주제 2주차 월요일 커리큘럼 [수업] 자료구조, 알고리즘(배열, 정렬/탐색, 재귀 알고리즘) [특강] 코딩 테스트, 코딩 인터뷰 주요 내용 2주차의 주요 내용들은 본격적인 데이터 엔지니어링 관련 내용에 앞서 올바른 코드 구현과 코딩 테스트 대비를 위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래머스에서 자료구조, 알고리즘 수업을 진행하고 계신 이시윤 멘토님의 코딩테스트 특강을 듣고 관련 내용을 정리했다. (특강을 듣고 저의 방식대로 서술한 내용이므로 이시윤 멘토님의 강연 내용, 의도와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Q. 코딩테스트는 왜 하는가? - 최소한의 문제 해결 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 시행한다. 이때 최소한의 문제 해결 능력이란 문제의 분석과 해결 방법을 착안하고 이를 코드로 구현하는 능력을..